
1.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줄거리
에밀 싱클레어는 중산층 가정의 10살 소년으로, 선과 악이 명확히 구분된 “빛의 세계”에서 살아갑니다. 그러나 프란츠 크로머를 만나면서 “어둠의 세계”를 경험하게 됩니다. 크로머의 협박과 괴롭힘으로 고통받던 중, 전학생 막스 데미안을 만나게 됩니다. 데미안은 싱클레어에게 카인과 아벨의 이야기를 새롭게 해석하며, 선과 악의 이분법적 세계관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성장기를 거치며 싱클레어는 내면의 갈등을 겪습니다. 방탕한 생활로 자신을 파괴하려 하지만, 데미안의 영향으로 점차 자아를 찾아가게 됩니다. 피스토리우스라는 오르간 연주자를 만나 종교와 철학을 탐구하며, 아브락사스 신에 대해 알게 됩니다. 아브락사스는 선과 악, 신성과 악마성을 모두 포함하는 신으로, 싱클레어의 세계관을 확장시킵니다.
데미안의 어머니 에바 부인과의 만남은 싱클레어의 정신적 성장에 결정적 계기가 됩니다.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전쟁터에서 부상당한 싱클레어는 데미안을 마지막으로 만납니다. 데미안은 싱클레어에게 언제든 그의 내면에서 자신을 찾을 수 있다고 말하며 작별합니다.
감상평
‘데미안’은 자아실현과 정신적 성장을 다룬 작품으로, RM이 BTS Wings 앨범의 주요 영감으로 삼은 것은 매우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특히 ‘피, 땀, 눈물’이라는 곡의 가사와 뮤직비디오는 데미안의 주제의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작품은 융의 심리학적 개념들을 문학적으로 승화시켰습니다. ‘페르소나’와 ‘그림자’의 개념, 개성화 과정 등이 싱클레어의 성장 과정에 녹아있습니다. RM이 이 책을 통해 자아실현과 성장의 의미를 깊이 고찰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2. 무라카미 하루키의 '해변의 카프카'

줄거리
15세 소년 카프카 타무라는 아버지의 저주를 피해 도쿄를 떠나 타카마쓰로 향합니다. 아버지는 카프카가 자신을 죽이고 어머니와 누나와 관계를 맺을 것이라는 오이디푸스적 저주를 내렸습니다. 도서관에서 일하며 새로운 삶을 시작하던 중, 그의 아버지가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한편, 나카타라는 노인은 고양이와 대화할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린 시절 미스터리한 사건으로 기억을 잃고 문맹이 된 그는, 죽은 고양이의 영혼을 먹는 괴인 조니 워커를 만나게 됩니다. 이를 계기로 나카타도 여정을 시작합니다.
두 인물의 이야기는 평행선을 그리다가 점차 교차하기 시작합니다. 현실과 초현실, 과거와 현재, 꿈과 현실이 뒤섞이며 이야기는 더욱 복잡해집니다. 카프카는 도서관에서 만난 사키 씨에게 끌리게 되고, 그녀가 자신의 어머니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혼란스러워합니다.
감상평
무라카미 하루키 특유의 초현실적 서사가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RM의 ‘butterfly’ 작사에 영감을 준 이 소설은, 정체성 탐구와 운명의 굴레라는 보편적 주제를 독특한 방식으로 다룹니다. 특히 카프카라는 인물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젊은이들이 겪는 실존적 고민을 표현했다는 점에서, RM이 공감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음악적 요소가 작품 전반에 녹아있다는 점도 음악가로서 RM의 관심을 끌었을 것입니다.
3. 파울로 코엘료의 '연금술사'

줄거리
안달루시아의 양치기 소년 산티아고는 반복되는 꿈에서 이집트 피라미드 근처에서 보물을 발견하라는 계시를 받습니다. 그는 자신의 운명을 따르기로 결심하고 긴 여정을 시작합니다. 집시 점쟁이를 만나 꿈의 의미를 확인받고, 멜키세덱이라는 신비로운 노인왕을 만나 ’ 자신의 전설(Personal Legend)’을 따르라는 조언을 받습니다.
아프리카로 건너간 산티아고는 처음에 모든 돈을 도둑맞는 시련을 겪습니다. 수정상점에서 일하며 새로운 시작을 하지만, 자신의 전설을 향한 열망을 포기하지 않습니다. 사막을 건너는 여정에서 영국인 연금술사를 만나고, 오아시스에서 파티마라는 사막의 여인을 만나 사랑에 빠집니다.
마침내 산티아고는 전설의 연금술사를 만나게 됩니다. 연금술사는 그에게 자연의 언어를 이해하는 법, 자신의 심장에 귀 기울이는 법을 가르칩니다. 전쟁과 죽음의 위협 속에서도 산티아고는 끝내 자신의 운명을 완수하게 됩니다. 그러나 진정한 보물은 피라미드가 아닌 여정 자체에 있었음을 깨닫게 됩니다.
감상평
‘연금술사’는 단순한 우화적 구조 속에 깊은 철학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RM이 이 책을 추천한 이유는 아마도 ‘자신의 전설’을 찾아가는 여정이 예술가로서의 자신의 경험과 맞닿아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특히 BTS의 초기 시절부터 ‘꿈을 향한 여정’이라는 주제를 다뤄온 것과도 연관됩니다.
작품은 또한 우주적 언어(Universal Language)와 만물의 상호연결성이라는 개념을 제시합니다. 이는 BTS의 음악이 언어와 문화의 장벽을 넘어 전 세계 청중과 소통하는 것과 맥락을 같이 합니다.
4. 잭 케루악의 '길 위에서'

줄거리
살 파라다이스라는 젊은 작가 지망생이 딘 모리아티를 만나면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딘은 자유분방하고 카리스마 넘치는 인물로, 살의 인생을 완전히 바꿔놓습니다. 그들은 미국 전역을 횡단하며 다양한 모험을 경험합니다. 재즈 클럽, 마약, 섹스, 술 등 비트 세대의 모든 요소가 등장합니다.
여행은 단순한 이동이 아닌 자아발견의 과정입니다. 살과 딘은 덴버, 샌프란시스코, 뉴욕을 오가며 다양한 인물들을 만납니다. 카를로 막스, 올드 불 리, 마릴루 등 실존 인물들을 모델로 한 캐릭터들이 등장하며 이야기를 풍성하게 만듭니다.
마지막 여정에서 멕시코로 향하는 길에서 그들은 궁극적인 자유와 해방감을 경험합니다. 하지만 결국 딘은 살을 버리고 떠나며, 살은 이를 통해 성장의 아픔을 겪게 됩니다.
감상평
‘길 위에서’는 단순한 여행기가 아닌 자유와 실존에 대한 탐구입니다. RM이 이 책을 선택한 것은 아마도 기존 가치관에 도전하고 새로운 삶의 방식을 모색하는 작품의 정신에 공감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특히 재즈에 대한 열정적인 묘사는 음악가로서 RM의 관심을 끌었을 것입니다. 작품 전반에 흐르는 즉흥성과 자유로움은 힙합의 정신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5. J.D.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

줄거리
16세 소년 홀든 콜필드는 명문 사립학교에서 퇴학당한 후, 크리스마스 방학 동안 뉴욕에서 3일간의 방황을 합니다. 그는 학교의 위선과 어른들의 ‘가식적인’ 세계를 혐오하며, 순수성을 지키려 노력합니다.
홀든은 뉴욕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납니다. 수녀, 옛 여자친구, 매춘부, 옛 선생님 등과의 만남을 통해 그의 내면세계가 드러납니다. 특히 동생 피비에 대한 사랑은 그의 유일한 구원입니다. 그는 자신이 ‘호밀밭의 파수꾼’이 되어 절벽 끝에서 놀고 있는 아이들을 지키고 싶다고 말합니다. 결국 홀든은 정신적 붕괴를 겪지만, 피비와의 만남을 통해 희망을 발견합니다. 회전목마를 타는 피비를 바라보며, 그는 순수성과 성장의 의미를 깨닫게 됩니다.
감상평
‘호밀밭의 파수꾼’은 청소년기의 혼란과 성장통을 다룬 고전입니다. RM이 이 작품을 선택한 것은 아마도 청년으로서, 또 아이돌로서 겪는 정체성의 혼란과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작품과 공명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특히 홀든의 반항적이면서도 순수한 캐릭터는 RM의 초기 랩 가사에서 보이는 사회비판적 태도와 맥락을 같이 합니다. 또한 작품이 다루는 ‘진정성’의 문제는 BTS의 음악 세계에서도 중요한 주제입니다.